호기심저장고

공황장애

지모프 2014. 12. 20. 20:26

공황장애


증상

공황장애는 갑자기 엄습하는 강렬한 불안, 즉 공황발작을 반복적으로 경험하는 장애를 말합니다. 

공황발작(panic attack)은 예상하지 못한 상황에서 갑작스럽게 밀려드는 극심한 공포, 곧 죽지 않을까 하는 강렬한 불안을 말합니다. 공황발작이라고 진단되기 위해서는 강렬한 불안과 더불어 다음과 같은 13개의 신체적, 심리적 증상 중 적어도 4개 이상의 증상이 있어야 합니다.

⑴ 심장이 평소보다 빠르게 뜀

⑵ 진땀을 흘림

⑶ 몸이 떨림

⑷ 숨이 가빠지는 느낌

⑸ 질식할 것 같음

⑹ 가슴의 통증이나 답답함

⑺ 토할 것 같은 느낌

⑻ 어지러움

⑼ 비현실감

⑽ 자기통제를 상실하거나 미칠 것 같은 두려움

⑾ 죽음에 대한 두려움

⑿ 감각의 이상이나 마비

⒀ 몸이 달아오르거나 추위를 느낌


이러한 증상은 갑작스럽게 나타나며 10분 이내에 그 증상이 최고조에 도달하여 극심한 공포를 야기합니다. 

흔히 첫 공황발작은 피곤, 흥분, 성행위, 정서적 충격 등을 경험한 후에 나타나는 경향이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 예측하기가 어렵고 갑작스럽게 나타납니다. 이러한 공황발작에 의한 공포는 대부분 10-20분 간 지속되다가 빠르게 또는 서서히 사라집니다.


공황장애는 예기치 못한 공황발작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장애입니다. 따라서 발작이 없는 중간시기에는 그런 일이 또 생기지 않을까 하는 예기불안(anticipatory anxiety)이 나타납니다. 즉 공황발작이 다시 일어나는 것에 대한 계속적인 걱정과 더불어 공황발작의 결과에 대한 근심(ex . 심장마비가 오지 않을까, 미치지 않을까 하는 거정 등)을 나타내며 부적응적인 행동변화(ex . 심장마비가 두려워 일체의 운동을 중지하거나 직장을 그만두거나 또는 응급실이 있는 대형병원 옆으로 이사를 가는 것)를 수반하게 됩니다.


이와 함께 환자는 흔히 심장병이 아닌가 하는 등의 건강염려증이 생기고 발작이 일어났던 장소와 유사한 장소 또는 상황을 회피하려는 행동을 보입니다.


원인

① 생물학적 원인

공황장애는 매우 극심한 불안 증상과 다양한 신체적 증상을 수반하는 불안장애이기 때문에 생물학적 원인이 깊이 관련된 것으로 생각되어 왔습니다. 특히 공황장애 환자의 생물학적 결함이나 취약성에 대한 여러 주장이 제기되어 왔으며, 이와 관련된 이론으로는 과잉호흡이론(hyperv-entilation theory)과 질식오경보(suffocation false alarm theory) 이론 등이 있습니다.


과잉호흡 이론은 공황장애 환자들은 자율신경계의 생물학적 결함으로 인해 혈액 속의 CO2 수준을 낮게 유지해야 하며 그 결과 깊은 호흡을 빨리 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러한 과잉호흡이 공황발작의 유발에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입니다. 질식오경보 이론에 따르면 공황장애 환자는 혈액 속의 CO2 수준에 과도하게 예민한 생화학적 취약성을 지니고 있으며 카페인, 이산화탄소의 흡입, 과잉호흡 등과 같은 생화학적 변화가 공황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고 합니다. 즉, CO2 수준에 극도로 예민하게 반응함으로써 위험하지 않은 상황에서도 뇌 중추에서는 과잉호흡 명령을 내리게 되고 환자들은 순간적으로 호흡곤란을 느끼고 공황발작이 일어나게 된다는 것입니다.

이밖에도 공황발작은 뇌의 청반(locus ceruleus)과 관련되며 Norepinephrine과 Serotonin과 같은 신경전달물질과도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으며 최근에는 GABA-benzodiazepine 체계의 이상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② 정신분석적 입장

정신분석적 입장에서는 공황발작이 스트레스가 많은 시기에 발생한다는 점에 주목하며 그 원인을 3가지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첫째, 공황발작은 불안을 야기하는 충동에 대한 방어기제가 성공하지 못했기 때문에 나타나는 것으로, 억압되어 있던 두려운 충동이 마구 방출될 것에 대한 극심한 두려움으로 인해 공황발작을 경험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둘째, 공황발작의 증상을 어린아이가 어머니와 이별할 때 나타내는 분리불안과 관련된 것으로 해석하는 견해로 공황장애가 주로 나타나는 장소 및 상황이 사람이 많은 넓은 장소에 혼자 있는 상황이라는 점에서 공황장애가 유아기의 분리불안을 재현하는 것이라는 설명입니다. 셋째, 공황발작이 무의식적인 상실 경험과 관련되어 있다는 견해로 공황장애 환자는 대부분 공황발작을 경험하기 전에 상실과 관련된 심한 사회적 스트레스를 겪는다는 연구 결과가 이를 뒷받침해 줍니다.


③ 인지적 입장

인지적 입장에서 공황장애를 가장 설득력 있게 설명하고 있는 이론은 Clark의 인지이론(1986)입니다. Clark은 공황발작이 신체 감각을 위험한 것으로 잘못 해석하는 파국적 오해석에 의해 유발된다고 보았습니다. 공황장애 환자들은 평소보다 강하거나 불규칙한 심장박동이나 흉부통증을 심장마비의 전조로, 호흡곤란을 질식에 의한 죽음으로, 현기증과 몸 떨림을 자신이 미쳐 버리거나 통제 불능상태로 빠져 버리는 것으로 파국적 해석을 하는 경향이 있다는 설명입니다.




치료

공황장애에는 크게 약물치료와 심리치료가 적용되고 있습니다. 공황장애에는 benzodiazepine 계열의 약물, 삼환계 항우울제,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등이 사용되며 그 치료효과는 비슷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공황장애에 대한 인지행동치료는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인지행동치료는 불안을 조절하는 복식호흡훈련과 긴장이완훈련, 신체적 감각에 대한 파국적 오해석의 인지적 수정, 광장 공포증과 관련된 공포상황에의 점진적 노출 등과 같은 치료적 요소로 구성됩니다.


[출처]

권석만『현대 이상심리학』학지사/2003

www.mind.org.uk/

www.rethink.org/

'호기심저장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RSS  (0) 2015.02.21
약지가 중지, 소지와 같이 움직이는 이유  (0) 2015.01.19
스톡홀름 증후군  (0) 2014.12.20
황금비율 그림  (0) 2014.12.16
다이소의 뜻  (0) 2014.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