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원 3

'노가다'의 어원

막노동 하시는 분들이 말한다."노가다하는 사람들은 거칠다"라고? 즉, 문맥상 노가다는 막노동이라는 의미로 해석된다. 일본말 같기도 한데, 한자에서 유래된 한국어는 아닌듯 하다. 인터넷 검색결과, 노가다의 여러가지 어원이 있었다. 그중에서 '도카타 (土方)'라는 일본어에서 유래됐다는 것이 가장 그럴듯 했다. 일본에서는 공사판에서 일하는 사람을 '도카타'라고 부른다고 한다. 그러나 이 단어마저도 요즘엔 잘 안쓴다고는 한다.  여하튼, 일본에서는 '카타 (方)'라는 단어는 어느 '분'이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그리고 '土'는 말 그대로 땅이라는 의미다. 노가다의 어원이 확실히 도카타인지는 모르겠다. 일본어 사전을 검색해보니, 막노동과 가장 유사한 단어가 육체노동을 의미하는 ちからしごと[力仕事]로 나온다. 여하튼..

호기심저장고 2025.03.08

무뚜기란 무엇인가?

무뚜기를 다른 말로는 무뚝이, 츄리전구, 줄조명, 연결조명이라고도 하는데요. 나무에 감거나 장식을 할 때 사용하는 작은 전구가 일렬로 수십개가 전선에 달린 전구장식 기구인데요. 분위기를 업시켜준다고해서 무드기가 무뚜기로 변한 것인가? 영어로는 string light라고 하는데, 줄로 이어진 전구라고 해서 그런것 같아요. 말하자면, 줄조명이지요. 인터넷에 다양한 정보를 검색해보아도 도저히 그 어원이나 정식명칭이 나오지 않네요. 그리고, 업계 전문가도 아직 무뚜기를 왜 무뚜기라고 하는지 모르는 것 같아요. 심지어 전문가들도 그냥 '무뚜기'라고 하는게 더 편하다는군요. ㅠㅠ;; 도대체 누가 처음 무뚜기라고 했을까? 정말 궁금하긴하네요. 어떤 누리꾼은 무뚜기는 반짝반짝 점멸하는 것이 아니고, 한번 켜지면 일정하..

호기심저장고 2024.11.24

감기의 어원

감기 感氣 한자의 뜻을 의역해보면, '기를 느끼다'라는 의미가 된다. 그런데 말이다. 감기의 증상은, 바이러스에 의한 상기도 감염증인데, 왜 이런 '감기'라는 용어가 생겼는가?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하는 상기도의 감지능에 문제가 발생했다고 해서, 감기라고 하는 것일까? 다시말해서, 공기로 느낄수 있는 온도, 습도, 냄새 등의 감지능력에 문제가 걸렸으니까. 감기에 걸렸다고 한다는 것인가? 좀더 직관적으로, "공기의 감지능 비상걸림"을 "감기"라고 할 수 있겠다.

호기심저장고 2023.11.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