괄호 2

국문 괄호(묶음표)의 사용법

문장에서 사용하는 괄호는 전하고자 하는 내용을 명확하고, 자세하게 표현하고자 이용하는 묶음표이다. 영문에서는 낱말과 괄호 사이를 띄워서 표기한다. 그런데 국문에서는 낱말과 괄호 사이를 붙여서 표기하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한다. 영문은 기본적으로 낱말이 모두 띄어져 있어서 그런지도 모르겠다.[예]   세포의 현미경사진은 위상차 현미경(NIKON)을 사용하여 취득하였다.[예]   Photomicrographs of cells were acquired using a phase contrast microscope (NIKON). 그럼, 뒤에 조사가 없을 경우는 어떻게 할까? [예]   철수는 일주일에 두 번 (월, 금) 수업이 있다.[예]   철수는 일주일에 두 번(월, 금) 수업이 있다. 뒤에 조사가 없으므로 ..

괄호 맞춤법 관련

괄호에서의 띄워쓰기에 관한 정해진 규정은 없다고 할 수 있어요. 그러나,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이 많이 사용하고 있지요. 그 이유는, 국문은 띄워쓰지 않아도 초성중성종성이 하나의 글자를 구성하고 있어서 대략적인 의미를 파악라고 혼동을 피할 수 있으나, 영문에서는 알파벳으로 일렬로 구성되어 있어서 혼동이 생기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어요.^^;; 1. 국문 단락 안에 ...... polypropylene(PP) ...... >>> 안띄움 2. 국문 단락 안에 ......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 >>> 안띄움 3. 영문 단락 안에 ...... polypropylene (PP) ...... >>> 띄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