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리 6

복숭아의 해독작용과 그 원리

한여름은 복숭아의 계절인데요.  정말 달콤하면서도, 세콤하고 맛있는 과일이지요. 마트에서 구매한 천도복숭아를 먹다가 갑자기 어릴때 들은 이야기가 불현듯 생각났어요. 복숭아를 먹으면, 담배로 찌들었던 독(니코틴)이 말끔히 없어진다는...말은 그럴싸한데,  궁금했던 것은 그 메커니즘이지요. 인터넷에 검색을 해보니, 이러저러한 이유는 많지만 '아스파르트산'이라는  성분이 많아서 좋다고 한답니다.  아스파르트산은 아미노기와 카복실기를 가지고 있으며, 단백질의 생합성에 사용되는 알파-아미노산이라고 해요. 특히, 복숭아는 담배의 니코틴 대사산물 코티닌을 소변으로 배출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고 하는데요. 아마도 수분이 많은 과육으로 인한 효과인듯 해요. 이 성분이 뭔지는 모르지만 아무튼, 위키백과나 인터넷을 검색해보..

소금물 장세척, 원리는 무엇인가?

빈 속에 농도가 진한 소금물, 1.5 L 정도를  마시게되면, 조금있다가 화장실로 가게되고 시원한 물똥이 나오게 되지요? 그러다가, 나중에는 똥이 아니라 항문에서 맑은 물이 쫘악 쏟아져 나온답니다. 이것을 장세척이라고들 하시는데요. 도대체, 그 원리가 뭘까요?핵심원리는 '삼투현상' 이랍니다. 대장의 내벽은 끈적하고, 부들부들하게 생겼는데요. 여기에 농도가 높은 소금물이 들어가면, 끈적한 점액질의 장벽 주름에 있던 체액이 농도가 높은 소금물쪽으로 빠져나오면서 갑작스러운 장운동이 발생하고, 대장에 수분이 과도해집니다. 이는 항문을 자극하여 신호를 보내게 되고, 배출되는 것이지요. 고농도의 소금믈이 장벽의 점액질 체액을 빨아내기도 하지만, 주름속에 파묻혀 있던 오래된 음식물 찌꺼기들도 동시에 뿜어내기때문에 장..

호기심저장고 2025.03.20

새끼 줄을 만드는(꼬는) 원리, 방법

합성섬유로 만든 줄이 보급되기전에는 한국농가에서 새끼 꼬는 것은 일상적인 일이었는데요. 새끼는 볏짚을 이용해서 손으로 꼬아서 만들면 로프가 된답니다. 손으로 비벼서 꼬면 새끼줄이 쭉쭉 만들어진다구요. 그냥 손으로 비벼서 꼬는데 순식간에 튼튼한 로프로 변하는 원리가 뭘까요? 새끼는 위의 사진처럼 손으로 비벼서 말면서 만들게 됩니다. 즉 짚은 짚대로 꼬이고, 꼬인 짚은 다시 다른 하나의 꼬인 짚과 꼬이게 된답니다. 이때 팽팽하게 꼬인 두갈래의 짚은 아랫부분에서 서로 만나서 한번더 꼬이는 부분에서 정확하게 만나게 됩니다.꼬인 짚은 풀어질려는 힘이 있어요. 그런데 두갈래의 꼬인 짚이 아래부분에서 접촉하여 딱 붙어서 풀리는 힘이 오히려 두 갈래의 짚이 스프링 달린 톱니바뀌처럼 맞물려서 풀리지 않게된답니다. 이것이..

호기심저장고 2025.03.08

매직 클리너 폼 스폰지 미세구조 원리(Magic Cleaner Foam Sponge Micro-Structure Principle)

오늘은 매직 클리너라는 제품의 원리를 설명하려고 해요. ^^;; 매직 클리너라는 걸 누가 사와서? 사용하는 걸 처음 보았는데요. 뭐 그럭저럭, "엥? 세제를 묻히지 않아도 얼룩이 잘 닦이네?" 이런 느낌이었어요. 매직 클리너라는 제품은 스폰지 형태로 생겼는데요. 물에 적신후, 물을 다시 꽉짜서 찌든때가 있는 표면의 얼룩에 매직 클리너를 눌러서 닦아내면, 깨끗하게 된답니다. 그 원리가 궁금해서 검색해보니, 소재는 열가소성 멜라민 수지이고, 미세한 구멍이 있어서  먼지와 오염물이 더 잘 닦인다고 하네요. 특히, 유동적 개방 기공구조라나 뭐라나??? 그리고, 재활용이 안된다나??? 아마도 미세구조가 너무 작아서 들어간 먼지가 밖으로 나오지 않는 것 같아요. 아래의 그림과 같이, 일반적인 걸레나 물티슈는 미세한..

호기심저장고 2025.02.20

수지침과 손(손바닥)의 상관관계

수지침 원리에 의하면 손바닥 안에  인간의 인체와 상응되는 지점이 있다고 하는데요.  그런데, 그 원리가 과연 뭘까요? 사람의 손에는 무수히 많은 혈관이 분포되어 있어요.  특히, 손가락 끝부분에는 미세혈관이 엄청나게 많은데요.  손가락 끝부분의 아무곳에나 수지침을 찔러도 피가 날 것 같아요. 수지침을 놓을 때는 기본 혈자리에 침을 놓고,  상응하는 신체부위가 안좋을 때 그 부위에 해당하는 손바닥에 수지침을 놓는데요. 그런데 신기하게도 아픈 신체부위에 해당하는 침자리에서  통증이 심하고 침을 뽑았을 때 피가 나오는 경우가 많아요.  몸이 건강한 상태에서는 수지침을 놓아도 피가  나오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요. 특히, 두통이 심할 때 중지의 가장 끝부분에 침을 놓으면  더 아프기도 하고 피도 많이 나더라구요..

분무기의 기본 원리

분무기의 기본원리는 [베르누이의 정리]를 이용한 것이다. 1738년 다니엘 베르누이가 정리한 내용으로 유체가 규칙적으로 흐르는 것에 대한 [속력, 압력, 높이의 관계]에 대한 법칙이다. 공기의 흐름이 빠른 지점에서는 압력이 낮으므로 물통에 가는 관을 연결하고, 관 위로 바람을 불면 관 윗부분의 압력이 낮아져서 병 속에 들어있는 물이 빨려 올라가게 된다. 정원에서 흔히 쓰는 분무기는 이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쉽게 예를 들면, 넓은 공간에서 특정속력으로 움직이는 유체(기체, 액체)가 좁은 공간으로 이동시 속력이 빨라지고 압력이 낮아진다는 것이다. 압력이 낮은 쪽으르 액체가 이동하여 분무되는 원리이다. 또다른 형태의 분무기를 보여주는 아래의 그림은 피스톤 펌프형 분무기의 작동원리이다. 피스톤의 압력이 높아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