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리 3

매직 클리너 폼 스폰지 미세구조 원리(Magic Cleaner Foam Sponge Micro-Structure Principle)

오늘은 매직 클리너라는 제품의 원리를 설명하려고 해요. ^^;; 매직 클리너라는 걸 누가 사와서? 사용하는 걸 처음 보았는데요. 뭐 그럭저럭, "엥? 세제를 묻히지 않아도 얼룩이 잘 닦이네?" 이런 느낌이었어요. 매직 클리너라는 제품은 스폰지 형태로 생겼는데요. 물에 적신후, 물을 다시 꽉짜서 찌든때가 있는 표면의 얼룩에 매직 클리너를 눌러서 닦아내면, 깨끗하게 된답니다. 그 원리가 궁금해서 검색해보니, 소재는 열가소성 멜라민 수지이고, 미세한 구멍이 있어서  먼지와 오염물이 더 잘 닦인다고 하네요. 특히, 유동적 개방 기공구조라나 뭐라나??? 그리고, 재활용이 안된다나??? 아마도 미세구조가 너무 작아서 들어간 먼지가 밖으로 나오지 않는 것 같아요. 아래의 그림과 같이, 일반적인 걸레나 물티슈는 미세한..

호기심저장고 2025.02.20

수지침과 손(손바닥)의 상관관계

수지침 원리에 의하면 손바닥 안에  인간의 인체와 상응되는 지점이 있다고 하는데요.  그런데, 그 원리가 과연 뭘까요? 사람의 손에는 무수히 많은 혈관이 분포되어 있어요.  특히, 손가락 끝부분에는 미세혈관이 엄청나게 많은데요.  손가락 끝부분의 아무곳에나 수지침을 찔러도 피가 날 것 같아요. 수지침을 놓을 때는 기본 혈자리에 침을 놓고,  상응하는 신체부위가 안좋을 때 그 부위에 해당하는 손바닥에 수지침을 놓는데요. 그런데 신기하게도 아픈 신체부위에 해당하는 침자리에서  통증이 심하고 침을 뽑았을 때 피가 나오는 경우가 많아요.  몸이 건강한 상태에서는 수지침을 놓아도 피가  나오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요. 특히, 두통이 심할 때 중지의 가장 끝부분에 침을 놓으면  더 아프기도 하고 피도 많이 나더라구요..

분무기의 기본 원리

분무기의 기본원리는 [베르누이의 정리]를 이용한 것이다. 1738년 다니엘 베르누이가 정리한 내용으로 유체가 규칙적으로 흐르는 것에 대한 [속력, 압력, 높이의 관계]에 대한 법칙이다. 공기의 흐름이 빠른 지점에서는 압력이 낮으므로 물통에 가는 관을 연결하고, 관 위로 바람을 불면 관 윗부분의 압력이 낮아져서 병 속에 들어있는 물이 빨려 올라가게 된다. 정원에서 흔히 쓰는 분무기는 이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쉽게 예를 들면, 넓은 공간에서 특정속력으로 움직이는 유체(기체, 액체)가 좁은 공간으로 이동시 속력이 빨라지고 압력이 낮아진다는 것이다. 압력이 낮은 쪽으르 액체가 이동하여 분무되는 원리이다. 또다른 형태의 분무기를 보여주는 아래의 그림은 피스톤 펌프형 분무기의 작동원리이다. 피스톤의 압력이 높아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