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698

소금물 장세척, 원리는 무엇인가?

빈 속에 농도가 진한 소금물, 1.5 L 정도를  마시게되면, 조금있다가 화장실로 가게되고 시원한 물똥이 나오게 되지요? 그러다가, 나중에는 똥이 아니라 항문에서 맑은 물이 쫘악 쏟아져 나온답니다. 이것을 장세척이라고들 하시는데요. 도대체, 그 원리가 뭘까요?핵심원리는 '삼투현상' 이랍니다. 대장의 내벽은 끈적하고, 부들부들하게 생겼는데요. 여기에 농도가 높은 소금물이 들어가면, 끈적한 점액질의 장벽 주름에 있던 체액이 농도가 높은 소금물쪽으로 빠져나오면서 갑작스러운 장운동이 발생하고, 대장에 수분이 과도해집니다. 이는 항문을 자극하여 신호를 보내게 되고, 배출되는 것이지요. 고농도의 소금믈이 장벽의 점액질 체액을 빨아내기도 하지만, 주름속에 파묻혀 있던 오래된 음식물 찌꺼기들도 동시에 뿜어내기때문에 장..

호기심저장고 2025.03.20

한국주식과 미국주식의 주가흐름에 차이가 나는 이유

주식의 가격이 상승하는 것은 누군가 주식을 현재 가격보다 조금 높더라도 매수하기 때문이다. 반면, 주식의 가격이 하락하는 것은 누군가 주식을 현재 가격보다 조금 낮더라도 매도하기 때문이다. 미국에서는 우량주의 경우, 미국의 법적이 시스템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정기적으로 가격과 상관없이 꾸준히 매수하도록 되어있다. 그러므로, 지속적인 상승이 이어질 수  밖에 없는 조건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한국에서의 주식은, 우량주라 할지라도 법적으로 꾸준히 매수하는 시스템이 없다. 그러므로, 한국의 주식은 오랜기간동안 지겹도록 하락하면서 지하실을 뚫고 상장폐지까지 가더라도, 특별한 대책을 세우지 않는다. 오히려, 자본가들이나 기업주는 더 좋아한다. 왜냐하면 상속세가 줄어들고, 저가에 주식을 야금야금 매수할 수 있으니까. ..

배가 차가우면 복통, 배탈이나 설사를 하는 이유

우리 몸은 적절한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해요. 그런데 배, 특히 장이 차가워지면 소화 기능이 약해지면서 배탈이나 설사를 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설사(泄瀉, 새다 설 + 쏟다 사, 영어: diarrhea)는 액체가 섞인 배변이나 잦은 배변을 일컫는데요. 그 이유를 하나씩 설명해볼게요. 첫째로, 장의 근육은 위축 및 경직되지만 음식물의 이동은 활발해집니다. 배가 차가워지면 장이 이를 자극으로 받아들여 장근육이 위축이 됩니다. 그로인하여, 음식물이 소화되기 전에 빠르게 이동하면서 수분이 충분히 흡수되지 못하고 묽은 변이 나오게 되는 것입니다. 충분히 흡수되지 못한 수분은 항문부의를 자극하여 변의를 발생시켜 화장실에 가도록 만듭니다. 둘째로, 혈액순환이 나빠집니다. 몸이 추위를 느끼면 중요한 장기인 심장과..

반응형